JavaScript
JavaScript 비동기 처리 – async와 await 심화
GPT러너
2025. 4. 14. 23:09
728x90
반응형
👋 안녕하세요! 오늘은 JavaScript에서 비동기 처리에 관한 내용을 다루겠습니다. 특히, async와 await의 사용법에 대해 심화적으로 알아볼 예정이니 초보자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. 🚀
🔍 async와 await 이해하기
// 📝 async와 await의 사용 예시
// async는 함수 앞에 붙여 사용하며, 비동기 처리를 명시합니다.
async function asyncFunction() {
// await는 async 함수 내에서 사용되며, Promise의 완료를 기다립니다.
const result = await new Promise((resolve, reject) => {
setTimeout(() => resolve("🎉 완료!"), 1000);
});
console.log(result); // 🎉 완료!
}
asyncFunction();
😎 async와 await의 장점
// 📝 async와 await의 장점
// 비동기 처리를 동기 처리처럼 직관적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.
async function getUser() {
const response = await fetch('https://api.github.com/users/octocat');
const user = await response.json();
console.log(user.name); // The Octocat
}
getUser();
async와 await는 JavaScript의 비동기 처리를 훨씬 쉽고 가독성 좋게 만들어 줍니다. 콜백 함수나 Promise의 복잡함에서 벗어나 동기 코드처럼 쉽게 작성할 수 있게 해주죠.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니, 각 상황에 맞게 잘 선택해서 사용해야 합니다.💡
📚 오늘은 JavaScript의 비동기 처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async와 await의 사용법과 이들이 우리에게 주는 장점에 대해 살펴봤는데요. 이해가 잘 되셨나요?
📌 다음 글 예고: JavaScript 비동기 처리 – Promise 심화
728x90
반응형